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산업기능요원] 1. 병역지정업체 찾기
    Career 2022. 8. 15. 15:52

    간단한 요약

    ● 채용공고는 원티드∙로켓펀치 → 병역일터 순으로 확인

    ● 여유 기간을 두고 공고를 확인하며 준비하는 것이 베스트

    ● 공고가 부실하거나 적혀있지 않은 내용은 의심

    ※ 보충역, 정보처리 분야


    산업기능요원 편입이라고 일반적인 회사의 취직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채용 공고를 찾아서, 이력서를 작성하고, 일련의 채용 절차를 거쳐 채용이 결정되면 수습 기간을 거쳐 산업기능요원으로 편입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당연히 채용공고를 찾아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찾아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생각보다 많은 회사, 직무에서 산업기능요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공고 대부분이 신규 보충역인데, 현역의 경우에는 이미 내정자가 있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아무 구직 사이트에 들어가서 병역 대체/산업기능요원/보충역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공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신, 정보처리 분야와 관계없는 공고도 많아서 저는 주로 원티드, 로켓펀치, 병역일터에서 주로 찾아보았습니다.

    원티드 : 공고에 큰 변화는 없지만 주관적으로 좋은 회사의 공고가 가장 많이 올라옵니다.

    로켓펀치 : 원티드와 비슷하지만, 로켓펀치 이력서 양식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굉장히 불편했습니다.

    병역일터 : 공고는 제일 많이 올라오지만, 중소기업이 대부분입니다.

     

    명심할 것은 병역일터에만 의존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병역일터에 공고를 올리지 않는 회사가 많기 때문입니다. 병역일터는 '이 회사가 병역지정업체가 맞는지' 확인하는 용으로 주로 들어갔습니다. 추가로, 병역지정 업체 검색에서 배정 인원이 0명이라고 나온다면 더 이상 편입 및 전직을 안 받는 기업이라는 것 입니다.

    병역지정업체 검색 예시 - 토스

     병역지정업체 검색 바로가기

     

     

    이제 채용공고를 보면서 본인이 정한 조건에 맞는 원하는 직무와 환경을 고르면 됩니다. 미리미리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의해야 할 점은, 채용공고는 저희가 얻을 수 있는 회사에 대한 유일한 정보라는 점입니다. 물론 잡플래닛, 크레딧잡, 블라인드 등에서 검색을 해볼 수는 있겠지만 후기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공고에 적혀있지 않는 내용에 대해서는 의심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이 첫 회사일 텐데 '회산데 당연히 이 정도는 해주겠지'라는 생각은 금물입니다. 공고에 적혀있지 않다면 높은 확률로 지원해 주지 않습니다. 또한, 저희의 첫인상이 이력서라면 회사의 첫인상은 채용 공고인데, 그 채용 공고를 귀찮다는 듯이 대충 올린 회사가 괜찮을지는 잘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